유아 빈뇨 : 5세 아이 스트레스 소변 자주 보는 현상




유아 빈뇨 증상 발현



아이가 얼마전부터 집에 있을 때 화장실을 자주 가기 시작했다.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으나 30분 남짓 되는 목욕 시간에 두세번씩 쉬를 하는 걸 보고 이상하다는 걸 느꼈다.

처음엔 물을 많이 마셔서 그런가 싶었는데 “쉬마려워!” 하고 가서 쉬야를 하고 나면 아주 소량의 소변만 있어서 이게 정말 쉬가 하고싶어서 그런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2-30분마다 한 번씩 쉬야를 하는 걸 2-3주 동안 반복했고, 어린이집에서도 아이가 화장실을 자주 간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빈뇨 증상이 확실한 것 같았고, 사실 짚히는 부분이 있었기에 아이가 요의를 느낀다고 할 때 최대한 무관심하게 평소처럼 대했다.



유아 빈뇨 소아과 상담


감기 때문에 소아과에 방문했을 때 의사선생님께 여쭤보았다. 아이의 상황을 알려주며 빈뇨가 계속되고 있다고… 선생님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

“주로 비뇨기과적 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이 있다. 아이가 소변을 볼 때 아파하는 등의 특별한 증상이 없으면 보통 심리적인 요인일 가능성이 크다. 아이가 가정이나 기관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 있는지 파악해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아마 우리가 먼저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임을 설명했기에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라 생각하며 답변을 한 것 같다. 혹시나 소변검사를 하자고 하진 않을까 생각하고 갔는데 그런 이야기는 없었다.





스트레스로 인한 빈뇨 증상


추측컨데 아이의 빈뇨 증상은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 증상인 것 같다. 최근 엄마 출근 문제로 아이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매번 우는 상황이 반복되었기 때문이다. 내가 출근할 때면 갑자기 기분이 나빠지면서 “엄마 회사 안갔으면 좋겠어. 우리가족 모두 다 같이 있었으면 좋겠어. 엄마 회사가서 사람들한테 그만둔다고 말하고 와~” 라고 구체적으로 표현하며 눈물을 흘리곤 했다. (이 사안에 대해서는 따로 글을 쓰려고 한다)

처음에 빈뇨 현상이 나타났을 땐 두 사건(아이의 스트레스 / 빈뇨)을 연결시키지 못했다. 요즘 물을 많이 먹고 있나? 정도로 생각했는데 어느날 갑자기 생각해보니 두 사건이 연결이 되더라.





2-3주 후 자연스럽게 증상 없어짐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한 후 부터 생긴 빈뇨 증상이 최근 사라졌다. 공교롭게도 소아과 방문한 그 날부터! 소아과 선생님과 상담할 땐 아이를 먼저 내보낸 후 진료실에서 상담한거라 아이가 들었을 리는 없다. 아마도 스트레스보다 강력한 감기 증상 때문에 아이가 정신을 못차리게 된 걸까? 어린이집 선생님도 “오늘 아이가 기침 콧물로 너무 힘들어했는데, 그래서인지 빈뇨 증상은 없었어요” 라고 알려주셨다.

지금 6일 째 빈뇨 증상 없이 지내고 있는 중이다. 아이가 스트레스 받는 엄마 회사 요인은 변한 게 없으나 아이가 적응하고 있기도 하다. 처음엔 엄마와 헤어지고 나면 서럽게 울며 슬퍼했지만, 이제는 울지 않고 웃으며 지내는 중.

(글 쓰는 오늘, 다시 엄마 출근길에 오열하기 시작했다. 빈뇨 증상은 없음. 다시 증상이 나타나는지 지켜봐야겠다.)





유아 빈뇨 주의사항


심리적 요인으로 인한 빈뇨 증상일 때에 주의할 사항은 부모가 아이를 다그치면 안 된다는 것. 심리적인 문제라 아이가 빈뇨 증상에 대해 본인이 인지하고 신경을 쓸 수록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는 기저귀 떼는 연습을 할 때에도 이렇게 빈뇨 증상을 보였었다. 그 때에도 마찬가지로 아이를 다그치거나 윽박지르지 않고 무관심하게 대했다. “쉬 했어? 잘했어 괜찮아.” 그러자 자연스럽게 증상이 나아졌다.

아이가 빈뇨 증상을 보일 때,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증상 모니터링 : 주의깊게 관찰하고 기록한다. 언제 증상이 나타나는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소변의 양과 색깔이 어떤지 등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다만 아이가 알아차리지 못하게 하는 게 좋다.

2.의사 상담 : 금방 증상이 없어진다면 굳이 방문할 필여가 없을 수도 있지만 그게 아니라면 소아과 혹은 소아비뇨기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한다. 전문가의 진단과 조언에 따르는 것이 좋다.

3.아이의 안정과 안심 : 아이의 빈뇨 증상을 보면 부모 입장에서 당연히 걱정스럽겠지만, 위에서 언급했던 것 처럼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안심시켜 주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