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 전철, 도시철도 지하철 정기권



나는 그동안 신용카드로 버스, 전철 요금을 내고 다녀 정기권이라는 게 있는 지 몰랐다. 알고보니 버스를 타지 않고 전철만 이용할 경우 정기권 사용 시 더 저렴할 수 있다고 한다. (계산기를 잘 두드려야 함)

서울전용이 있고 거리비례용이 있는데 서울시계 내에서만 이용할 것이라면 서울전용을 사용하고, 그 외 지역에서 이용할 것이라면 거리비례용을 사용한다. 서울전용의 경우 서울시계 외에서 승차할 경우 승차처리가 되지 않고, 서울시계 외에서 하차할 경우 횟수가 더 추가되어 차감된다. 거리비례용의 경우 단계마다 정해진 정기권 운임이 있어 그 운임거리를 벗어나는 곳에서 하차를 할 경우 횟수가 추가되어 차감된다. 정기권을 사용할 경우 전철을 이용하기 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 사이트에서 출발/도착역을 입력한 뒤 정기권 금액을 확인하면 된다.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seoulmetro.co.kr). 혹은 가까운 전철역에 문의하는 것도 가능.




<정기권>

카드값 : 2,500원
정기권 카드를 구매해 정기권 운임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
충전일부터 30일 이내, 60회까지 사용 가능.
광역/도시철도 구간에서 사용 가능.
버스 환승이 불가능하니 전철만 타고 다닐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시 1) 2022.12.01에 충전했으면 2022.12.30까지 사용을 완료해야 한다. 그 이후에는 횟수가 남아있더라도 사용할 수 없다. 새로 충전해야 한다.

예시 2) 2022.12.30이 되지 않았음에도 60회를 사용 완료 했다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새로 충전해야 한다.


<운임 및 사용구간 종류>

1.서울전용 : 55,000원

교통카드 기본 운임인 1,250원 x 44회

서울 전용 사용 구간 외(서울시계외)에서는 승차가 불가능하다.
서울 전용 사용 구간 외(서울시계외)에서 하차할 경우 거리에 따라 잔여횟수에서 추가로 차감된다.

2.거리비례용

1단계 55,000원 부터 18단계 117,800원 까지 있다.

정기권, 1회권으로 다음의 구간은 갈아탈 수 없다. : 1,4호선,공항철도 서울역 – 경의중앙선 서울역

3.정기권 충전 방법

각 역사에 있는 발매기에 정기권 카드를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안내 메세지가 뜬다. 출발역과 도착역을 입력하면 해당하는 운임을 알려주니 확인할 수 있다. 사용 시작일 지정이 가능하고, 사용 종료일 확인도 가능하다.

주의사항

1.카드 판매대금은 반환하지 않는다. 단, 최초 구입 후 1년 이내 발생한 외관상 훼손 없는 기능 불량 카드는 반환 가능. (고객 부주의로 인한 경우는 제외)

2.반환 시 사용일수, 사용횟수를 적용해 산출한 금액 중 적은 금액으로 반환한다. (단, 불량카드는 사용횟수 적용)

-사용일수 기준 계산식 : 정기권 운임 – (사용일수 x 종별교통카드편도운임 x 2회)
-사용횟수 기준 계산식 : 정기권 운임 – (사용일수 x 종별교통카드편도운임)

3.별도 운임이 있는 노선의 경우 가능한 거리비례정기권의 최저단계가 상이함. 해당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더욱 자세한 정보는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도권 광역전철 이용안내 (letskorail.com)

승차권안내 : 이용정보>운임제도>승차권안내 (seoulmetro.co.kr)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